본문 바로가기

친환경마크 종류와 설명 | 6가지 주요 인증제도 완벽 가이드

스톤앤우드 2024. 10. 30.
     

친환경마크 종류와 설명 ❘ 6가지 주요 인증제도 완벽 가이드

친환경마크 종류와 설명 | 6가지 주요 인증제도 완벽 가이드

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소비를 위해 다양한 친환경마크가 제도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인증마크들은 소비자들이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쉽게 구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이 글에서는 주요 친환경마크 6가지와 그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1. 환경마크 (Korea Eco-Label)

주관 기관: 한국 환경부

1992년에 도입된 한국의 대표적인 친환경 인증 마크로, 제품의 전 과정에서 환경성을 평가하여 인증이 부여됩니다.

인증 기준

  • 자원의 재활용 가능성 평가
  • 유해물질 저감 여부
  • 에너지 절감 효과
  • 환경 영향 최소화

적용 제품군

  • 생활용품: 세제, 화장지, 문구류
  • 가전제품: 냉장고, 세탁기, 에어컨
  • 건축자재: 페인트, 벽지, 바닥재
  • 사무용품: 프린터, 복사기, 토너

소비자 혜택

  • 환경 보호 기준 준수 제품 확인 가능
  • 공공기관 구매 시 우선 구매 대상
  • 일부 제품 조세 감면 혜택

2. 저탄소 인증

주관 기관: 한국 환경부

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인 제품에 부여되는 인증으로,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 인증제도입니다.

인증 과정

  1. 제품 탄소 배출량 산정
    • 원료 채취 단계
    • 제품 생산 단계
    • 유통 및 사용 단계
    • 폐기 단계
  2. 저탄소 기준 충족 여부 평가
  3. 현장 실사 및 검증
  4. 인증서 발급

인증 등급

등급 탄소 저감률 혜택
1등급 40% 이상 조세 감면 최대
2등급 20~40% 조세 감면 중간
3등급 10~20% 조세 감면 기본

3. GR 인증 (Good Recycled)

주관 기관: 한국산업기술시험원(KTL)

재활용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증하는 인증으로, 자원 순환 사회 구축에 기여하는 우수 재활용 제품에 부여됩니다.

인증 심사 기준

  • 품질 기준
    • 내구성 평가
    • 안전성 검사
    • 성능 테스트
  • 재활용 기준
    • 재활용 원료 사용 비율
    • 재활용 공정 적합성
    • 환경 영향 평가

주요 인증 제품군

건설자재

  • 재생 골재
  • 재활용 보도블록
  • 재생 아스팔트

생활용품

  • 재생 화장지
  •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
  • 재생 섬유 제품

인증 취득 혜택

  • 공공기관 의무 구매 대상 지정
  • 품질 보증 효과
  • 조달청 납품 시 가점 부여
  • 각종 지원제도 우선 적용

4. 탄소 발자국 인증

주관 기관: 한국환경산업기술원

제품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정량화하여 표시하는 인증제도로,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 선택을 돕습니다.

탄소 발자국 측정 단계

1. 원료 채취 단계

  • 원자재 채굴/수확
  • 운송 과정 배출량
  • 가공 과정 배출량

2. 생산 단계

  • 제조 공정 배출량
  • 포장재 사용
  • 공장 내 에너지 사용

3. 유통/사용 단계

  • 물류 운송 배출량
  • 보관/진열 과정
  • 소비자 사용 시 배출량

4. 폐기 단계

  • 수거/운반 과정
  • 재활용/매립/소각
  • 처리 시설 배출량

표시 방법

등급 CO2 배출량 표시색상
1등급 4kg 미만/제품 초록색
2등급 4-8kg/제품 파란색
3등급 8kg 이상/제품 노란색

소비자 가이드

인증마크 확인 방법
  • 제품 패키지 전면 확인
  • QR코드 스캔으로 상세정보 확인
  • 등급별 색상 구분 확인

5. 전기/전자 제품의 자원 순환 인증

주관 기관: 한국환경산업기술원

전기·전자 제품의 재활용성을 높이고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는 인증으로, 자원의 효율적 순환을 촉진합니다.

주요 인증 기준

유해물질 기준
  • 납 (0.1% 미만)
  • 수은 (0.1% 미만)
  • 카드뮴 (0.01% 미만)
  • 6가 크롬 (0.1% 미만)
재활용성 기준
  • 분해 용이성
  • 재질 분리 가능성
  • 재활용 소재 사용률

대상 제품군

  • 가전제품
    • TV, 냉장고, 세탁기
    • 에어컨, 청소기
    • 전자레인지
  • IT기기
    • 컴퓨터, 노트북
    • 프린터, 스캐너
    • 모바일 기기

자원순환 효과

  • 연간 자원 절감량: 약 2만톤
  • CO2 저감효과: 약 3만톤
  • 경제적 가치: 약 100억원

6.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

주관 기관: 한국환경산업기술원, 국토교통부

실내 공기질 개선과 거주자의 건강을 고려한 건축자재에 부여되는 인증으로,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주거환경 조성을 목표로 합니다.

인증 분야

내장재
  • 벽지 및 도배지
  • 페인트
  • 바닥재
  • 천장재
구조재
  • 단열재
  • 창호재
  • 시멘트
  • 콘크리트

시험 항목

구분 측정 항목 기준치
실내공기질 폼알데하이드 0.02mg/m² 이하
유해물질 중금속 4mg/kg 이하
방출량 VOCs 0.1mg/m² 이하

인증 취득 효과

기업 혜택
  • 녹색건축 인증 가점
  • 조달 입찰 우대
  • 세제 혜택
소비자 혜택
  • 실내 공기질 개선
  • 거주자 건강 보호
  • 에너지 비용 절감

끝으로

지금까지 한국의 주요 친환경 인증마크 6가지를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. 이러한 인증마크들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환경 보호에 동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.

핵심 포인트 정리

  • 환경마크: 전반적인 환경성 평가의 기준
  • 저탄소 인증: 탄소 배출 저감 노력 확인
  • GR 인증: 재활용 제품의 품질 보증
  • 탄소 발자국: 제품의 전 과정 탄소 배출량 확인
  • 자원 순환 인증: 전자제품의 재활용성 보장
  • 친환경 건축자재: 건강한 주거환경 조성

소비자 실천 방안

  • 제품 구매 시 인증마크 확인하기
  • 인증 등급과 기준 비교하기
  • 재활용과 분리배출 실천하기
  • 에너지 효율 제품 선택하기

여러분은 어떤 친환경 인증마크를 확인하고 제품을 구매하시나요? 평소 관심 있게 보는 인증마크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!

 

목록으로 가기


[일상생활] - 준공검사 사용허가 신청 및 과정 그리고 서류사항

 

준공검사 사용허가 신청 및 과정 그리고 서류사항

준공검사 사용허가 신청 및 과정 그리고 서류사항 목록 준공검사 전 사용허가 신청 준비 사용허가 신청 절차 준공검사 과정 준공검사 현장 감독 준공검사의 핵심 요소 결론 준공검사 전 사용허

stonenwood.tistory.com

[인테리어 TIP] - 친환경 가구, 목재의 친환경 자재 등급 파헤치기~!

 

친환경 가구, 목재의 친환경 자재 등급 파헤치기~!

친환경 가구, 목재의 친환경 자재 등급 파헤치기~!목차포름알데히드란 무엇인가?포름알데히드 등급 기준실내 가구 선택 시 유의사항새집증후군 예방법결론포름알데히드란 무엇인가?포름알데

stonenwood.tistory.com

 

     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