친환경마크 종류와 설명 | 6가지 주요 인증제도 완벽 가이드
친환경마크 종류와 설명 | 6가지 주요 인증제도 완벽 가이드
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소비를 위해 다양한 친환경마크가 제도적으로 시행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인증마크들은 소비자들이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쉽게 구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이 글에서는 주요 친환경마크 6가지와 그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1. 환경마크 (Korea Eco-Label)
주관 기관: 한국 환경부
1992년에 도입된 한국의 대표적인 친환경 인증 마크로, 제품의 전 과정에서 환경성을 평가하여 인증이 부여됩니다.
인증 기준
- 자원의 재활용 가능성 평가
- 유해물질 저감 여부
- 에너지 절감 효과
- 환경 영향 최소화
적용 제품군
- 생활용품: 세제, 화장지, 문구류
- 가전제품: 냉장고, 세탁기, 에어컨
- 건축자재: 페인트, 벽지, 바닥재
- 사무용품: 프린터, 복사기, 토너
소비자 혜택
- 환경 보호 기준 준수 제품 확인 가능
- 공공기관 구매 시 우선 구매 대상
- 일부 제품 조세 감면 혜택
2. 저탄소 인증
주관 기관: 한국 환경부
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줄인 제품에 부여되는 인증으로,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 인증제도입니다.
인증 과정
- 제품 탄소 배출량 산정
- 원료 채취 단계
- 제품 생산 단계
- 유통 및 사용 단계
- 폐기 단계
- 저탄소 기준 충족 여부 평가
- 현장 실사 및 검증
- 인증서 발급
인증 등급
등급 | 탄소 저감률 | 혜택 |
---|---|---|
1등급 | 40% 이상 | 조세 감면 최대 |
2등급 | 20~40% | 조세 감면 중간 |
3등급 | 10~20% | 조세 감면 기본 |
3. GR 인증 (Good Recycled)
주관 기관: 한국산업기술시험원(KTL)
재활용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을 보증하는 인증으로, 자원 순환 사회 구축에 기여하는 우수 재활용 제품에 부여됩니다.
인증 심사 기준
- 품질 기준
- 내구성 평가
- 안전성 검사
- 성능 테스트
- 재활용 기준
- 재활용 원료 사용 비율
- 재활용 공정 적합성
- 환경 영향 평가
주요 인증 제품군
건설자재
- 재생 골재
- 재활용 보도블록
- 재생 아스팔트
생활용품
- 재생 화장지
-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
- 재생 섬유 제품
인증 취득 혜택
- 공공기관 의무 구매 대상 지정
- 품질 보증 효과
- 조달청 납품 시 가점 부여
- 각종 지원제도 우선 적용
4. 탄소 발자국 인증
주관 기관: 한국환경산업기술원
제품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정량화하여 표시하는 인증제도로,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 선택을 돕습니다.
탄소 발자국 측정 단계
1. 원료 채취 단계
- 원자재 채굴/수확
- 운송 과정 배출량
- 가공 과정 배출량
2. 생산 단계
- 제조 공정 배출량
- 포장재 사용
- 공장 내 에너지 사용
3. 유통/사용 단계
- 물류 운송 배출량
- 보관/진열 과정
- 소비자 사용 시 배출량
4. 폐기 단계
- 수거/운반 과정
- 재활용/매립/소각
- 처리 시설 배출량
표시 방법
등급 | CO2 배출량 | 표시색상 |
---|---|---|
1등급 | 4kg 미만/제품 | 초록색 |
2등급 | 4-8kg/제품 | 파란색 |
3등급 | 8kg 이상/제품 | 노란색 |
소비자 가이드
인증마크 확인 방법
- 제품 패키지 전면 확인
- QR코드 스캔으로 상세정보 확인
- 등급별 색상 구분 확인
5. 전기/전자 제품의 자원 순환 인증
주관 기관: 한국환경산업기술원
전기·전자 제품의 재활용성을 높이고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는 인증으로, 자원의 효율적 순환을 촉진합니다.
주요 인증 기준
유해물질 기준
- 납 (0.1% 미만)
- 수은 (0.1% 미만)
- 카드뮴 (0.01% 미만)
- 6가 크롬 (0.1% 미만)
재활용성 기준
- 분해 용이성
- 재질 분리 가능성
- 재활용 소재 사용률
대상 제품군
- 가전제품
- TV, 냉장고, 세탁기
- 에어컨, 청소기
- 전자레인지
- IT기기
- 컴퓨터, 노트북
- 프린터, 스캐너
- 모바일 기기
자원순환 효과
- 연간 자원 절감량: 약 2만톤
- CO2 저감효과: 약 3만톤
- 경제적 가치: 약 100억원
6. 친환경 건축자재 인증
주관 기관: 한국환경산업기술원, 국토교통부
실내 공기질 개선과 거주자의 건강을 고려한 건축자재에 부여되는 인증으로,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주거환경 조성을 목표로 합니다.
인증 분야
내장재
- 벽지 및 도배지
- 페인트
- 바닥재
- 천장재
구조재
- 단열재
- 창호재
- 시멘트
- 콘크리트
시험 항목
구분 | 측정 항목 | 기준치 |
---|---|---|
실내공기질 | 폼알데하이드 | 0.02mg/m² 이하 |
유해물질 | 중금속 | 4mg/kg 이하 |
방출량 | VOCs | 0.1mg/m² 이하 |
인증 취득 효과
기업 혜택
- 녹색건축 인증 가점
- 조달 입찰 우대
- 세제 혜택
소비자 혜택
- 실내 공기질 개선
- 거주자 건강 보호
- 에너지 비용 절감
끝으로
지금까지 한국의 주요 친환경 인증마크 6가지를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. 이러한 인증마크들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환경 보호에 동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.
핵심 포인트 정리
- 환경마크: 전반적인 환경성 평가의 기준
- 저탄소 인증: 탄소 배출 저감 노력 확인
- GR 인증: 재활용 제품의 품질 보증
- 탄소 발자국: 제품의 전 과정 탄소 배출량 확인
- 자원 순환 인증: 전자제품의 재활용성 보장
- 친환경 건축자재: 건강한 주거환경 조성
소비자 실천 방안
- 제품 구매 시 인증마크 확인하기
- 인증 등급과 기준 비교하기
- 재활용과 분리배출 실천하기
- 에너지 효율 제품 선택하기
여러분은 어떤 친환경 인증마크를 확인하고 제품을 구매하시나요? 평소 관심 있게 보는 인증마크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!
[일상생활] - 준공검사 사용허가 신청 및 과정 그리고 서류사항
준공검사 사용허가 신청 및 과정 그리고 서류사항
준공검사 사용허가 신청 및 과정 그리고 서류사항 목록 준공검사 전 사용허가 신청 준비 사용허가 신청 절차 준공검사 과정 준공검사 현장 감독 준공검사의 핵심 요소 결론 준공검사 전 사용허
stonenwood.tistory.com
[인테리어 TIP] - 친환경 가구, 목재의 친환경 자재 등급 파헤치기~!
친환경 가구, 목재의 친환경 자재 등급 파헤치기~!
친환경 가구, 목재의 친환경 자재 등급 파헤치기~!목차포름알데히드란 무엇인가?포름알데히드 등급 기준실내 가구 선택 시 유의사항새집증후군 예방법결론포름알데히드란 무엇인가?포름알데
stonenwood.tistory.com
'인테리어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축 현장의 필수 과정, 양생의 모든 것: 전문가가 알려주는 완벽 가이드 2024 (8) | 2024.11.15 |
---|---|
단열재 완벽 가이드: 베스트 단열재 TOP 4 총정리 (3) | 2024.11.14 |
트라버틴 관리 완벽 가이드: 전문가가 알려주는 3가지 핵심 관리법 (7) | 2024.10.28 |
동화자연마루 NAF보드: 친환경 인테리어의 새로운 기준 5가지 장점 | 건강한 집 만들기 (0) | 2024.10.23 |
ABS 도어 종류별 특징과 선택 가이드: 10가지 꿀팁 대공개 (3) | 2024.10.22 |
댓글